학예사는 박물관, 전시관, 갤러리 등에서 일하는 전문인력을 말한다. 영어로 큐레이터라고도 부르는 학예사는 전시의 꽃이다. 전시기획, 소장품 관리, 홍보, 도슨트 등 학예사는 다방면에서 활약하는 전문직이다. 학예사가 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무원 학예사를 꿈꾼다.
공무원(공무직) 학예사를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당연하게도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한 곳에서 오래 일할 수 있고, 짤릴 걱정 없고, 급여도 비교적 높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입사하면 승진은 물론 고위직 공무원도 노려볼 수 있다. 지방직 학예사가 되면 한 곳에서 움직이지 않고 오래 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럼 공무원 학예사가 되는 방법은 무엇일까?
국가직 공무원 학예사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현대미술관 등 국립기관에서 선발하는 시험에 통과하면 국가직 공무원 학예사가 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을 예로 들면 시험공고가 나면 접수 후 서류, 필기, 면접을 통해 합격자를 가린다. 최종 합격자는 전국에 있는 국립박물관에서 근무하게 된다.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사의 장점은 여러 기관에서 근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을 비롯해 춘천, 부여, 공주, 경주, 대구, 제주 등 국립박물관이 소재한 곳을 따라 순환근무를 하게 된다. 지역에 따라 전시와 근무환경이 달라 많은 경험과 함께 인맥을 쌓을 수 있다.
또 지방직 공무원 학예사에 비해 승진 기회가 많다. 학예연구사로 입사해 학예연구관, 고위직 공무원으로 승진할 수 있다. 승진에 따라 급여도 상승해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사회적 명예도 높다. 대학교에 출강을 할 수도 있고, 학회에서 발표할 수 있는 기회도 많다. 물론 본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앞선 장점이 단점이 될 수도 있다. 잦은 순환 근무로 안정적으로 가정생활을 하기 어렵다. 대부분 주말 부부로 지내거나 자주 이사를 다녀야 한다. 국가직 공무원 학예사라는 명예가 있는 반면, 그에 걸맞는 엄청난 업무량은 물론 기대 수준도 높다. 이를 이겨내야만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국가직 공무원 학예사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면, 이미 학계에서는 어느정도 알려진 사람이다. 왜냐하면 국가직 공무원 학예사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선 학위, 논문, 어학, 경력 등 엄청난 수준의 능력이 요구된다. 유학파는 물론 난다 긴다 하는 사람들이 모여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통과하는 것 자체로 대단한 게 국가직 공무원 학예사다.
지방직 공무원 학예사 |
국가직 공무원 학예사가 중앙부처에서 선발하는 것이라면, 지방직 공무원 학예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뽑는다. 가령 경기도청, 서울시청, 제주도청 등 지방자치단체가 매년 시험을 통해 학예사를 선발하고 있다. 합격하면 한 자리에서 오래 일할 수 있다. 순환근무를 하더라도 지방단체가 있는 범위를 넘어서지 않기 때문에 멀리 이사 가야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지방직 공무원 학예사는 한 곳에서 오래일할 수 있고 안정적인 급여로 생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국가직 공무원 시험에 비해 경쟁률, 시험, 면접 등이 상대적으로 덜 어려운 편이다. 그렇다고 합격하기 쉬운 건 결코 아니다. 수많은 경쟁자를 뚫고 본인의 존재감을 드러내야만 합격할 수 있다.
지방직 공무원 학예사는 다른 공무원들과 같이 일하기 때문에 전문성을 인정받기 어렵다. 지방자치단체의 근무환경에 따라 업무 외적인 일도 맡아야 한다. 또 승진이 제한적이다. 6급 혹은 7급으로 입사하지만 그 이상 올라가기 어렵다. 도에 1~2명씩 학예연구관이 있기도 하지만 티오가 적어 승진을 기대하긴 어렵다. 다만 호봉이 계속 쌓여 급여가 오르긴 오른다.
임기제 공무원 학예사 |
국가직, 지방직 공무원 학예사가 출산, 병가, 혹은 기타 이유로 장기 부재할 때 한시 임기제 공무원 학예사를 선발한다. 쉽게 말해 계약직 학예사로 근무기간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 급여가 높지 않고 계약직이기 때문에 별로 선호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제 막 대학원을 졸업하고, 보다 높은 곳에 응시하기 위해 경험을 쌓길 원한다면 좋은 기회가 될 수 도 있다.
한시 임기제 학예사가 전임 학예사의 복귀에 따라 근무기간이 달라진다면, 임기제(혹은 시간선택제) 학예사는 비교적 근무기간이 긴 편이다. 지방자치단체 혹은 국가기관이 일정 기간동안 학예사가 필요해 선발하거나, 여타 이유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2년 계약을 시작으로 최대 5년간 일할 수 있다.
채용방법은 서류와 면접으로 선발하는게 일반적이다. 각 시, 군청에서 선발하는 경우가 많다. 임기제 학예사는 계약직이지만 급여가 높은 편이다. 최대 5년간 일할 수 있지만, 5년 후 다시 채용되면 그만큼 더 일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다만 5년간 상승했던 급여는 다시 5년 전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국가직, 지방직 공무원 학예사에 비해 채용기회도 많고, 경쟁율, 시험 등이 상대적으로 쉽다. 다만 계약직이라는 서러움을 감내해야 하고 2~5년 후 재계약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에, 언제라도 자리를 내어줄 준비를 해야만 하는 게 임기제 학예사의 현실이다.
공무직 학예사(학예연구원) |
공무직은 쉽게 말해 전문직, 일반직을 보조하는 역할이다.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를 보조하는 학예연구원이 바로 공무직 공무원이다. 예전에는 근무기간 2년의 기간제근로자가 대부분이었지만 요즘은 정규직화 하면서 정년이 보장되는 자리가 점점 늘고 있다.
하지만 급여가 적고, 승진도 되지 않으며, 보조 역할이다 보니 근무환경이 좋은 편은 아니다. 그럼에도 이마저 없어 치열한 경쟁을 뚫어야만 겨우 통과할 수 있다. 일단 정년이 보장되는 자리는 근무환경이 어떻든 무시무시한 경쟁률이 기다리고 있다. 왜냐하면 요즘같이 변동이 심한 상황에서 안정적인 일자리만큼 매력적인 것은 없기 때문이다.
2020/02/11 - [지식창고] - 큐레이터(학예사)가 되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법
2020/02/13 - [지식창고] - 큐레이터(학예사) 연봉은 얼마나 받나? 현실적인 구인구직 상황
2020/02/14 - [지식창고] - 큐레이터(학예사) 구인구직에 도움이 되는 취업사이트
날씨 좋은날, 속초 가볼만한 곳 베스트 7 (0) | 2020.05.12 |
---|---|
중고나라에서 중고폰 고르는 방법(업자말고 개인) (0) | 2020.05.09 |
날씨 좋은날, 춘천 가볼만한 곳 베스트 7 (0) | 2020.05.04 |
배당금 높은 주식의 끝판왕 맥쿼리인프라 (0) | 2020.04.25 |
주식투자의 장점과 단점 (0) | 2020.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