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Penguin

반응형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노비로 태어난 장영실(최민식)과, 조선의 국왕 세종(한석규)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존경받는 세종대왕과 당대 최고의 과학자 장영실은 누구나 다 아는 위인이다. 장영실은 현재 부산인 동래현 관청에 소속된 노비였다. 

 

설에 의하면 장영실의 아버지는 중국에서 건너온 사람이라고 한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장영실의 아버지는 중국 소주, 항주 지방에서 건너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반면 동국여지승람에는 아산 출신이라는 기록이 있어 어느 것이 더 신빙성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아무튼 장영실은 노비였지만 금속제련, 건축, 물건수리등에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세종은 농업 생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고심하고 있었는데, 장영실을 발견하고는 그를 한양으로 불러들였다. 세종은 장영실에게 정 5품 행사직을 하사하였고, 조선의 천문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천문의기를 함께 만들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나오는 왕족과 노비의 로맨스도 아닌, 왕과 노비의 신분을 뛰어넘은 공동연구(?)가 행해진 것이다. 사실 조선은 철저한 유교사회이자 계급사회로 신분간의 구분이 뚜렷하고, 그 경계를 허물거나 넘어서는건 꿈도 못 꾸던 시기였다. 드라마에서 자주 보이는 서자의 서러움이 있는 나라가 바로 조선이었다.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에서는 세종과 장영실의 실제 스토리를 구현하고 발명품에 대한 재미있는 일화도 연출해 웃음을 더하는 영화다. 영화속에서 세종은 장영실의 재능을 사랑해 그를 더 가까이하면서 다른 대신들의 반감을 사게 한다. 특히나 명나라의 천문을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천문을 구축하려는 왕의 의도는 당시 사대주의에 빠져있던 세태를 극명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후 안여의 바퀴에 이상이 생기면서, 세종이 바닥에 떨어지는 사고를 당한다. 대신들은 장영실이 그 범인이라며 몰아세우며 모함하게 된다. 세종이 장영실을 보호하려 했지만, 장영실은 결국 곤장 80대를 맞은 후 작품이 끝나게 된다. 사실 장영실의 죽음에 대한 기록은 제대로 남아있지 않다.

 

실제 세종실록의 기록을 찾아보면 장영실은 세종의 가마를 제작하라는 명을 받았지만, 가마가 부서지는 사고가 발생해 장영실은 의금부에 투옥된 후 장형을 맞고 파직되었다. 그리곤 역사에서 그 자취를 감추게 된다. 이후 장영실이 어떻게 살았고, 어떻게 죽었는지에 대한 실마리조차 남아 있지 않다. 

 

장영실의 발명품은 혼천의, 측우기, 자격루, 옥루, 앙부일구, 간의 등이 있다. 혼천의는 중국의 혼천설에 기반한 천문 관측 기구다. 우리나라는 고려시대까지 중국의 혼천의를 수입해 사용하였는데, 자영실이 세종 15년(1433)에 우리나라의 하늘에 맞는 혼천의를 완성하였다. 이후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7세기에 다시 만들어졌다. 

 

측우기는 강우량, 즉 비가 얼마나 왔는지 측정하는 기구다. 측우기는 빗물을 받는 통으로, 세계 최초로 국가단위로 표준화된 기상측정 기구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문종이 세자 시절 세종의 명을 받고 고안하였다고 전해지며, 제작에 장영실이 참여했다.

 

 

자격루는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을 알려준다. 세종 때도 경점지기라는 물시계가 있었지만, 정밀함이 매우 떨어져 효용성이 없었다. 이를 장영실이 2년간 연구한 끝에 완성하여 보루각에 설치되었다. 물을 끌어올리고, 시간이 되면 인형이 움직여 북을 움직이는 시계였다.

 

앙부일구는 세종 16년(1434)에 자영실이 만들었던 해시계다. 가마솥같이 생겼다고 해소 앙부일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앙부일구는 지구 모양을 표현한 것으로 작은 크기로도 시각선, 계절선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이다. 세종실록을 보면 글을 모르는 백성을 위해 12 지신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고 한다. 

 

이렇듯 장영실은 세종대에 살았던 희대의 과학자다. 물론 장영실 혼자 이 모든 업적을 이룬건 아니다. 이미 설계가 되었던 것을 제작만 하기도 했고, 많은 조력자들이 장영실을 도왔다. 신분의 한계를 넘어서 조선의 과학 발전을 위해 힘썼지만, 그를 모함하는 세력에 의해 씁쓸한 말년을 보내야 했다. 자세한 내용은 영화를 보면 알 수 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